한국영화감독조합 웹진 Director’s Cut 시즌 2, 혁신호 발간

한국영화감독조합 웹진 Director’s Cut 시즌 2, 혁신호 발간



한국 영화를 이끄는 재능의 현주소, 감독들이 직접 전하는 생생한 육성 컨텐츠
11월 5일, 감독조합 웹진 ‘디렉터스 컷’ 시즌 2 홈페이지 오픈!



영화 감독. 그들은 어떤 생각으로 영화를 만들고, 어떻게 살아갈까? 모두들 궁금해하지만 개봉 때 집중 해서 쏟아지는 인터뷰 만으로는 채워질 수 없었던 갈증에 답을 주는 공간. 현재 한국 영화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감독들이 직접 만드는 웹진 ‘디렉터스 컷’이 2호를 맞아 지면 혁신을 단행, 양과 질 모두 훨씬 더 풍부하고 독자들의 눈을 사로잡을 만한 ‘흥행’ 요소를 두루 갖춘, 시즌2라는 명칭에 걸 맞는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거듭났다.

Director’s Cut에만 있다!
봉준호,김지운,나홍진 등 감독들이 직접 쓰고 말하는 킬러 컨텐츠+보너스



디렉터스 컷
http://www.dicut.net - 웹진 디렉터스 컷Director’s Cut 홈페이지


디렉터스 컷 시즌2에서 가장 달라진 부분은, 학술적이거나 저널리즘 적 접근이 아니라, 쉽고 재미있게 감독들의 세계를 다양한 시도로 볼 수 있게 한 섹션들. ‘정보’와 ‘재미’ 양 면에서 일반 매체와는 다른 독특함과 풍부함을 자랑한다. 일례로 감독과 가장 밀접한 동반자이자 그들의 세계를 몸으로 구현해서 보여주는 매개체인 ‘배우’가 ‘감독’의 세계를 취재하는 ‘배우의 감독’ 코너. 그 1탄은 사진과 글 모두 각별한 개성과 재능을 갖춘 배두나가 1인칭으로 쓰고 찍은 ‘박쥐’현장과 ‘박찬욱’ 감독이다. 각별한 인연으로 맺어진 이들인 만큼 여느 매체가 보지 못 한 색다른 앵글을 만날 수 있다. 감독이 감독을 인터뷰, 허구나 포장이 들어설 여지가 애초에 배제된 ‘감독vs감독’은 이현승 감독이 3시간에 걸쳐 만난 김지운 감독 인터뷰를 무삭제로 게재. 어느 매체에서도 한 적 없는 솔직하고 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영화 감독 지망생들을 위한 선배 감독들의 가이드이자 격려담이 될 ‘나의 데뷔기’는 <추격자>로 인상적이고 성공적 데뷔를 한 나홍진 감독이 첫 주자로 나섰다. 관객들은 잘 모르는 ‘영화 만들기’의 전 과정의 이면을 들여다 볼 ‘Director’s Tool’은 <포비든 킹덤>의 비주얼 특수 효과(VFX)를 담당한 매크로그래프를 방문, 영화 후반 작업에서 점점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CG 작업 과정을 상세히 인터뷰했다. 이 외에도 봉준호 감독의 연재 칼럼‘DVD&북가이드’는 그가 보고 들은 결과 추천할 만한 DVD와 책 소개를 특유의 재치있고 유쾌한 문체로 풀어낸다. 감독 봉준호에게 자양분이 되었던 컨텐츠들을 훔쳐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예정. 감독들의 진솔한 수다를 담은 ‘Director’s Talk’는 ‘영화 아닌 타 매체에서의 활동’이란 주제로 이현승, 한지승, 장항준, 임필성, 용이, 한재림 감독의 ‘경험에 입각한’ 난장 대화를 수록했고, ‘Director’s Cut in Asia’에서는 디렉터스 컷 편집장인 임필성 감독이 인터뷰한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린다,린다,린다ㅣ마츠가네 난사사건ㅣ마을에 부는 산들바람)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보너스로 최동훈 감독의 배우자이자 ‘박쥐’의 프로듀서인 안수현이 직접 쓴 ‘감독의 아내로 즐겁게 살아가기 위한 요령’이란 제목부터 흥미로운 에세이 또한 만날 수 있다.


감독들이 기획하고, 쓰고, 말하고, 편집하는 감독들의 매체. 디렉터스 컷- 현재진행형의 한국영화를 만나는 또 하나의 창구가 되겠습니다.


영화의 뒤편, 혹은 카메라의 뒤편을 고정적인 자리로 간헐적으로 취재 대상이 되기는 해도, 적극적이거나 직접적인 목소리를 들려 줄 기회도 공간도 없었던 영화감독들. ‘한국에서 영화 감독으로 산다는 것’ 혹은 ‘한국에서 영화 감독을 한다는 것’ 등 그들의 고민과 기쁨. 영화에 대한 생각 등. 진솔한 이야기들을 1인칭으로 전하는 감독들의 매체. 디렉터스 컷. 정기 발행물도 아니고 전문가의 손에서 탄생한 프로 저널도 아니지만, 한국 영화의 현재를 만들어가는 감독들이 직접 쓴 글과 이야기들을 통해 ‘한국 영화의 진행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창구로서 기능하고자 한다. 서툴지만 조심스럽게 관객과 직접 대화를 시도하는 Director’s Cut. 그 행보를 관심 있게 지켜 봐 보자.

댓글 쓰기

다음 이전